Ҳимояга тавсия этаман”


Битирув лойиҳа ишининиг аннотацияси (на русском)


Download 359.17 Kb.
bet3/10
Sana30.04.2023
Hajmi359.17 Kb.
#1413277
1   2   3   4   5   6   7   8   9   10
Bog'liq
Bitiruv malakaviy ishi

Битирув лойиҳа ишининиг аннотацияси (на русском)

Цель данной работы - обсудить, как неправильные глаголы должны быть представлены и рассмотрены в учебниках, а также план, чтобы более эффективно преподавать и изучать неправильные глаголы для иностранных учащихся. Если учащиеся-иностранцы не понимают и не узнают должным образом самые основные принципы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они не смогут точно и правильно говорить по-корейски, и они будут неоднократно делать подобные ошибки, вызывая проблемы в общении. Таким образом, понятие и типы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будут организованы с точки зрения корейск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 не с точки зрения лингвистики, сосредоточив внимание на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ах, рассматриваемых в учебных пособиях по корей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 А анализируя и дополняя проблемы существующих методик преподавания и обучения, иностранные учащиеся не будут делать много ошибок и смогут легче и быстрее выучить неправильные глаголы. Он также направлен на поиск способов улучшить представление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в учебниках с учетом эффективного преподавания и обучения.
Данная работа является детальным исследованием процесса и причин изменения правильных и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при их спряжении посредством добав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морфем. Разделив глаголы на две категории (правильные и неправильные) и формируя из них различные формы при помощи всевозможных морфем, мы постараемся глубоко изучить процесс, а главное, причины изменения основ глаголов в той или иной ситуации. По моему мнению, зачастую возникают ситуации, когда преподаватель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будучи не до конца осведомленным по этой теме, затрудняется максимально корректно и аргументированно объяснить учащимся не только этот самый, довольно запутанный процесс изменения глаголов, но и причину этих изменений, что куда более важно для полного осмысления данной темы. По этой причине, начина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оказательств из источников о грамматике древнего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заканчивая современными различными примерами, я старалась максимально развёрнуто, по ступеням расписать весь ход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таких глаголов, а главное развеять вопросы о причинах таких особенностей.
Спряжение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используется с начального этапа обучения, и общеизвестно, что учащимся на начальном этапе обучения трудно точно выводить правильные формы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Тем не менее, было необходимо эмпирическ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ть фактические данные учащегося и выяснить его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поскольку отсутствовали исследования фактических данных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которые могли бы точно определить сложность нарушений обучения, и исследований, в которых анализировались моде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на нескольких уровнях.
Если учащиеся-иностранцы не понимают и не узнают должным образом самые основные и основные неправильные глаголы, они не смогут точно и правильно говорить по-корейски, и они будут неоднократно делать подобные ошибки, вызывая проблемы в общении. Таким образом, понятие и типы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будут организованы с точки зрения корейск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 не с точки зрения лингвистики, сосредоточив внимание на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ах, рассматриваемых в учебных пособиях по корей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 А анализируя и дополняя проблемы существующих методик преподавания и обучения, иностранные учащиеся не будут делать много ошибок и смогут легче и быстрее выучить неправильные глаголы. Он также направлен на поиск способов улучшить представление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в учебниках с учетом эффективного преподавания и обу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изучая общие и специфичные для класса моде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иностранными учащимися, он определяет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процесса усвоения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и анализирует моде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о типам неправильных глаголов, чтобы определить, какие общие черты и различия существуют между неправильными глаголами учащихся. Это может быть материалом для разработки учеб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и методов обучения неправильным глаголам.

서론
본 연구는 한국어에 규칙동사와 불규칙 동사들의 자체 및 여러 어미를 붙이는 것을 통하여 어간에 일어나는 변화 과정과 그 원인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동사를 규칙과 불규칙으로 나누어 여러 어미를 붙이는 방법을 통하여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여태까지 대부분이 모르는 변화의 이유를 최대한 깊이 살펴보도록 하겠다. 현재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불규칙동사가 변하는 과정을 자제하게 모르는 거에다 왜 다른 방식으로 말고 굳이 그러한 방식으로 변하는지 잘 모르므로 학습자들에게 가르칠 때도 정확하고 논거 있게 설명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본다. 그러므로 역사적인 근거를 비롯하여 다양한 예문을 통해 규칙동사와 불규칙동사의 변화과정을 단계별로 서술하여 지금까지 모두가 궁금한 실상을 알려드리고 의문을 풀도록 하겠다.
한국어의 동사의 구성은 크게 어간과 어미로 나눌 수 있다. 동사의 어간이 중심 이 되어 여러 어미가 붙음으로써 동사의 성격이 달라지는데 이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어미는 다시 문장을 종결, 연결, 전성시키는 어말어미와 시제, 존칭, 추측 등의 역할을 하는 선어말어미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어미가 어간과 어울림으로써 동사 활용이 된다.
동사 활용은 크게 규칙과 불규칙으로 나눌 수 있다. 어간에 어미가 붙어 활용할 때 이 둘의 모습이 일정한 경우도 있지만 환경에 따라 바뀌는 일이 있다. 이러한 형태변이 가운데 일정한 환경에서 자동적으로 바뀌는 경우를 규칙활용이라고 하고, 반대로 어간과 어미의 기본 형태가 유지되지 않으며 그 변화가 일정한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불규칙 활용이라고 한다.
더 자세히 보면, 규칙 활용은 자음동화 규칙, ‘으’탈락 규칙, ‘ㄹ’탈락 규칙 등이 있다. 불규칙 활용은 어간의 불규칙, 어미의 불규칙, 어간과 어미의 불규칙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외국어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통일된 불규칙 용언의 개념이 체계적으로 정리가 된 교육 방안이 아직까지 없다. 그렇다 보니 용언의 불규칙 활용을 연구하는 학자들마다 생각이나 입장이 달라 불규칙용언의 명칭이나 불규칙용언의 유형에 대한 정의가 다양하게 나타 나고 있다. 불규칙용언과 관련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측면에서 논의가 이 루어진 선행 연구들 중 교재 분석과 불규칙용언의 개념과 분류 기준, 기술 방식에 관한 교육 방법과 교수 방안 연구로는 이대규(2000), 조남민(2002), 이은희(2009), 박덕유 외(2011), 이용(2013), 이혜영․이임경(2013)의 논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로 테스트를 진행하거 나 설문 조사를 하여 결과를 분석한 실험 연구로는 석주연(2002), 김영선 (2009)이 있다.최근 몇 년간 한류 열풍으로 인하여 한국의 대중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확산되면서 외국인들의 한국어에 대한 단순한 관심과 호기심은 시간이 지날수록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호기심은 한국어 학습으로 이어져나가 한국의 대학교와 대학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 학생들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또한 외국 대학의 한국어 강좌 수강률이 상승하고 있으며 한국어 강좌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다. 그리고 대학과 대학기관에 서는 한국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가 계속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고, 한국어 문법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모국어와 연결고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김제열(2001)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 및 문법 요소를 자기 수 준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 하였다. 또한 문법 구조가 자기의 모국어와 다른 학습자나 문법에 대한 선수 학습이 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문법 항목들이 정선되어 단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하였 다. 그렇지 못할 경우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은 미로를 헤매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미혜(2009)는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에 대한 지식, 사용 능력이 없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문법 교육을 통해 한국어를 이해 하고 사용하는 데 목표를 둔다고 언급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초급 교재에서 꼭 다루어지고 있는, 불규칙용언을 효율적으로 교수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론
외국인 입장에서 각 불규칙의 규칙을 암기하고 그 뒤로는 해당 유형의 처음 보는 단어를 보면 그것이 큰 틀의 규칙 변화대로 쓰이는지, 아니면 특수 규칙(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한국어의 불규칙)대로 쓰이는지만 사전으로써 알아내면 그 어떤 활용형이든 따로 암기할 필요 없이 규칙에 따라 연역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령 '' 불규칙 활용의 규칙을 이미 알고 있고 '두렵다'라는 단어를 처음 봤다고 가정할 때, '두렵다'가 일반 규칙대로 안 쓰이는 점만 알면 굳이 문법책을 안 찾아봐도 자연스럽게 '두려워', '두려우니', '두려운'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래 유형마다 '규칙'을 적어 놓은 것은 유형별 활용 규칙으로서 형태론적 분석보다는 일반인 및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작성하였다.
몇몇 어미 앞에서 어간의 일부가 바뀌거나 탈락하는 활용이다.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
문법은 단어와 문장의 구성 원리와 규칙을 말하는 좁은 의미의 개념과 언 어의 형태, 구조, 의미 규칙을 포함한 전체 언어의 특징을 말하는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 문법은 한국어에 대한 배경지식 이 전무하다고 볼 수 있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문법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시키고 외국인 학습자가 문법 규칙을 인지하여 정확하고 효과적 인 표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유창하게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규칙 체계이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 기관에서는 학습 자들이 한국어를 올바르고 원활하게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문 형 학습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굳이 문법 교육을 할 필요가 있냐는 의견들이 있다. 그리고 문법 교육 자체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크게 실용성이 없다고 하여 문법 교육을 적극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문법을 듣기․ 말하기․ 읽기․ 쓰 기의 의사소통 기능과 과제에서 따로 독립시켜 개별 항목으로 교육을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법 중심의 교수법은 1970년대 이전에 사용되던 형 태 중심 접근 방법으로 교사가 문법을 먼저 제시하고 이를 학습자들이 연습을 하던 방식이다. 또한 교사 중심의 교수법으로 편찬이 된 교재들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서 문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학습자들은 문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계속적으로 발생되고 야기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위주로 하는 새로운 언어 교수 방법인 의미 중심 접근 방법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 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교수법이 반영된 교재들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문법을 배우지 않고 간접적인 방법만으로 문법과 문법관련 지식들을 습득하다보니 일상생활에서의 간단한 의사소통은 가능하지만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하기에는 표현 능력이 부족하여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Canale ․ Swain(1890)는 제2언어 학습과 관련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아래 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1) 문법적 능력: 어휘와 문법에 관한 능력, 문법적인 규칙을 이해하고 문법에 맞는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능력.
(2) 사회언어학적 능력: 때와 장소에 맞게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사회적 맥 락에 맞게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
(3) 담화 능력: 글이나 대화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 의사소통이 전체 담화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파악하는 능력.
(4) 전략적 능력: 의사소통의 방향을 바꾸거나 시작하거나 멈추는 능력, 부족한 언어능력을 적절하게 보충할 수 있는 능력.
이 중 문법적 능력은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문법적 지식이 부족하거나 없으면 의사소통을 정확하고 능숙하게 할 수가 없다. 문법 교육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따라하고 지속적인 연습을 통하여 문법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박 겉 핥기식의 표면적인 학습만으로는 완벽하게 문법을 이해하고 습득하여 언어를 구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송화 (2009)는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목표 문법을 의사소통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고 담보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용 단계에서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과 유사하게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제로 학습자가 직면하게 될 의사소통 상황과 유사한 활동을 구성하는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이고 뛰어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문법의 규칙을 이해하고 문법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 할 줄 알아야 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한국어는 외국인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문법과 복잡한 활용이 많은 언어이기 때문에 의사소통 능력만을 강조하고 문법 규칙의 체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냥 넘어간다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함에 있어 계속적으로 같은 오류를 범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교육과 함께 문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2)언어를 배울 때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그 언어의 체계를 이해하고 구사 할 수 있는 시기가 있는데 이를 결정적 시기 또는 임계기라고 한다. 그러나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대부분 결정적 시기를 넘어선 성인인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체계적인 문법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의 규 칙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한국어 문법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상황에 따라 맞는 표현들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대화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학습자가 한국어에 대한 올바를 지식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대부분 성인인 경우가 많다. 성인 습자의 경우는 인지적 능력이나 정의적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은 이미 지났다고 봐야 한다. 국립국어원(2007)에서도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대부분 성인인 경우가 많으며, 성인 학습자의 경우 인지적 능력이나 정의적 능력이 발달 과정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에는 이미 선행학습을 하여서 또는 이전에 모국에서 대학이나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 수업을 들어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한 이들도 있고, 한국어에 대한 지식이 하나도 없어 한글의 자음과 모음도 모르는 이들도 있다. 이렇듯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실력은 여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법을 단계별로 잘 제시하고 교수하며,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의 구조와 규칙에 대해 이해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유창하고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의견과 생각, 감정들 바르고 확실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문법 교육을 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문법 교육은 한국어 교육의 한 영역에 해당하므로 그 목표가 한국어 교육의 목표에 포함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의 가장 큰 목 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으므로 한국어 문법 교육은 상황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음성, 단어, 문장, 문법 요소, 대화나 이야기와 관련된 문법 지식을 익히는 것이다. 그리고 한 국어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 교육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고려하여 한국어 불규칙용언의 개념을 정리하면, 규칙 용언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용언인 동사나 형용사가 활용을 할 때, 어간과 어미의 결합 과정에서 어간, 어미의 형태에 변화가 없는 것을 규칙 용언이라고 하고,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형태에 변화가 있는 것을 불규칙 용언이라고 한다. 이때, 음운론적인 설명 가능여부와 상관없이 형태가 바뀌거나 변화가 있으면 불규칙 용언으로 본다는 것이다.

불규칙용언의 개념

Download 359.17 Kb.

Do'stlaringiz bilan baham:
1   2   3   4   5   6   7   8   9   10




Ma'lumotlar bazasi mualliflik huquqi bilan himoyalangan ©fayllar.org 2024
ma'muriyatiga murojaat qiling